정부-MB계, '박근혜 발언' 대반격 시작
정운찬-진수희 공개비판, 수도권 친이계 '행정도시 백지화'안 제출
포문은 세종시 논란의 단초를 제공했던 정운찬 총리가 가장 먼저 열었다.
정운찬 총리는 29일 기자간담회에서 박 전 대표 발언에 대해 "세종시 문제는 정치적 신뢰 문제 이전에 막중한 국가대사라는 데 이론이 있을 수 없다"고 반격을 가했다. 그는 조만간 박 전 대표를 만나 세종시 수정안을 설득시키겠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같은 날, 한나라당의 수도권 및 비례대표 의원 10명이 세종시 개정안을 제출했다. 한결같이 '친이계'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들은 개정안에서 9부2처2청 이전 항목을 아예 빼버렸다. 정부 부처 하나도 옮길 수 없다는 분명한 입장 표명이다.
30일에는 이재오계 핵심인 진수희 한나라당 의원이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전 대표의 세종시 원안 고수에 대해 "이제는 더 이상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이 문제를 놓고 정략적인 고려라든지 선거를 의식한 결론이라든지 이런 접근은 좀 안해야 되겠다"라며 "국가의 백년대계를 생각을 한다면 과연 이대로 추진되는 게 바람직할 지 그런 회의를 갖는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진 의원은 "나도 충청 대전 출신"이라며 "그렇지만 충청지역 발전도 나라의 미래를 같이 두루두루 놓고 보면 지금 원안대로 가서는 도저히 자족기능을 가진 도시로서 기능을 할 수가 없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처럼 정부와 친이계가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해 대대적 공세에 나선 것은 '박근혜'라는 장벽을 넘어서지 않고선 세종시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대공세에 대해 아직 박근혜 전 대표나 친박계는 맞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물밑에서는 "또다시 한차례 전쟁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전운이 나돌고 있다.
친박계는 10.28 재보선에서 한나라당이 수원, 안산, 충북에서 참패한 핵심요인중 하나로 세종시에 대한 충청의 반발을 꼽고 있다. 정운찬 총리나 친이계는 "세종시와 재보선은 무관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충북 4군에서 1만표 가까운 차이로 한나라당이 참패한 것도 그렇고 안산, 수원에서 패한 것도 '충청출신 표'가 반한나라 쪽으로 결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세종시 수정을 강행할 경우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은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고전을 할 게 분명하고, 차기 대선에서도 치명적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게 친박계 판단이다.
때문에 친박계 사이에서는 세종시를 둘러싼 일전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일각에선 "세종시를 수정하려면 4대강 사업부터 축소해야 한다"며 연말 국회에서 4대강 사업 예산에 대한 제동을 걸려는 움직임까지 읽히고 있어, 한나라당 내홍이 본격적으로 분출되기 시작한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