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여론조사] 기자 73% "미디어법, 무효-재개정해야"

60% "신문, 방송 진출해도 성공 못할 것"

현역 기자들 70% 이상이 한나라당이 강행처리한 미디어법을 무효화하거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재개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기자협회에 따르면, 창립 45주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11~13일 전국 현역기자 3백 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40.5%가 ‘여당의 날치기로 통과된 미디어법은 무효화돼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여론독과점 등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독소조항을 개정하고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은 32.7%였다. 도합 73.2%가 무효화 또는 재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셈.

‘법 개정 취지에 맞게 규제를 더욱 철폐·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13.4%, ‘통과된 현행대로 시행돼야 한다’는 응답은 9.6%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3.8%였다.

미디어법이 무효화돼야 한다는 응답은 방송 기자 쪽에서 높아 절반 가까운 48.3%에 달했다. 신문 기자는 38.4%가 무효화를 지지했다. 독소조항 개정 등 규제 강화는 신문사 기자(36.2%)가 방송사 기자(19.8%)보다 높았다.

한편 신방 겸영 허용에 따라 신문사가 방송에 진출할 경우 성공 확률과 관련해선 ‘낮다’는 의견이 60.1%(매우 낮다 11.1%, 낮은 편 49.0%)로 나타났다. 높다는 대답은 35.9%(매우 높다 3.9%, 높은 편 32.0%)였고, ‘잘 모르겠다’는 4.0%였다.

부정적 답변은 방송 기자(64.7%) 쪽에 더 많았으며 신문 기자는 58.9%였다.

이밖에 MBC 민영화에는 58.2%가 반대했고, 사장 교체후 KBS 보도 논조에 대해선 54.8%가 ‘이전보다 불공정해졌다’고 답했다. YTN 사태 미해결의 책임 주체는 ‘청와대와 정부여당’이라는 의견이 71.5%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 면접법으로 실시됐으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5.7 포인트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4 6
    23

    전체적으로 보면 미디어법은 언론관계에 어긋나는법이다.
    미디어법은 있어서는 안되며 미디어에게 고통만 안겨줬다.
    충분하게 해결할수있고 또한 보완대책 마련해야한다.
    총력과 사력을 다해서 각 분야와 부분에 맞게 집중혁신 쇄신해야된다.
    호남쇄신론은 물론 전국쇄신론에 탄력이 많아질수있다.
    기자님이 말하는 미디어법은 무효 재개정이 아닌 유효 개정이니
    종합적 판단과 결정에 따라서 근거있게 미디어법투표 다시하는게 적절하다.
    헌법재판소가 구체적으로 고민 미디어쪽에 적극도움될수있도록 하자!!

  • 6 2
    객.

    적법하다는 생각하는 꼴통 한줌도 안되는 것들은.
    갸들이구먼. 스벌넘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