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범래 "盧 외압으로 550억 봉하 골프장 건설"

"처음에는 봉하마을 인근 김해는 후보지 아니었다"

지난 2005년 6월 공무원연금공단이 지방 대중골프장 건설 지역 선정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측의 외압으로 김해에 골프장이 들어서게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범래 한나라당 의원은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무원연금공단이 추진해 노 전 대통령의 봉하마을 인근에 들어서게 될 '김해 골프장'에 대해 "김해골프장은 애초부터 사업후보지가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04년 7월 삼일회계법인은 공단의 의뢰를 받고 '영.호남 골프장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의원은 "삼일회계법인이 검토한 골프장 잠정위치 대상지역은 영남 지역 4곳은 청도, 밀양, 창녕, 함양이고, 호남지역 4곳은 장성, 담양, 남원, 고창지역이었다"며 "당시 김해는 검토대상지 자체가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2005년 3월부터 공단은 지자체의 추천을 받았다는 이유로 김해지역을 슬그머니 끼워넣어 부지평가를 실시했다"며 "김해시가 추천한 대상부지 4곳, 진례면 신안리, 대동면 주중리, 한림면 병동리, 상동면 대감리 일원은 공교롭게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봉하마을과 20~4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김해시가 추천서를 제출할 때도 ‘노무현대통령 생가’를 언급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부지선정과정에 외압이 없었다면 도저히 불가능하다"며 "골프광 노무현 앞 마당에 헌납? 정치적 외압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외압에 따른 골프장 부지선정임을 주장했다.

그는 이와관련 "2005년 부지결정 당시 이사장인 정채융 역시 노무현 정부시절 요직에 오른 사람으로, 노무현 정부시절 당시 여당의 장관 및 경남지사 후보로 거론 됐을 만큼 노무현 전 대통령과 친분 있는 사람이었다"고 당시 정채융 공단 이사장의 외압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또 "2004년 공단은 ‘영호남 골프장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실시했다고는 하지만, 영호남에 골프장 건설이 타당하다는 원론적인 것에 불과했다"며 "따라서 공단이 용역을 제대로 실시하려면,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 7개 지자체 후보지에 대해서 타당성 조사를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뿐만 아니라 공단직원이 현장실사 1번으로 끝난 것은 심의과정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한번의 현장실사 그것도 공단에서 직접나간 실사내용만을 갖고 6명(1명 불참)의 부지선정자문위원들 최종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공단이 처음 건립타당성 용역대상도 아니었음에도 후보지로 선정됐고, 최종 낙점될 때까지의 평가과정의 수많은 의문점, 부지선정 위치, 인근 골프장 소유주와의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관계, 당시 최종 결정 라인에 있던 공단 이사장의 정치성향 등을 종합하면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이 왜 김해에 골프장 부지로 선정할 수 밖에 없었는지 답이 나옴. 외압이 없고서는 도저히 불가능하다"며 감사원의 감사를 주장했다.

공단이 추진하고 있는 김해골프장은 총 5백50억원(부지매입비 110억원, 공사비 등 440억원)의 18홀짜리 골프장으로 김해 한림면 병동리, 진례면 고모리 일대에 들어서게 된다. 이 의원에 따르면 현재 부지매입대상 중 87%정도가 매입이 끝났고, 전체필지 142 중 132필지가 사유지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3 2
    골프장

    골프장
    우스운 소리하겠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이룩한(?) 청계천 복원사업을
    본인이 대통령이었던 시절에 이루어 놓은 것이어서 스스로의 업적으로 이야기했답니다.(^ ^;;;;;)

  • 5 1
    ㅊㅊ

    지자체의 추천을 받았다는 이유라면 한나라당이 조직적으로 개입한거아닌가?
    경상도나 김해을 장악하고있는 한나라당이 당차원에서 개입했다는 증거아닌가??

  • 5 6
    장차

    그 골프장에 큰 구멍이 여러 개 날거여
    옛날 역적집안엔 터 기운을 없앤다고
    구멍을 여러개 팠다지.
    벌써 벙커로 파놨나?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