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동아 여론조사] 격전지 15곳 모두 혈전
현역의원 프리미엄 거세나 무소속 도전 거세
▽서울 노원병=노회찬 진보신당 대표가 35.2%로, 31.3%에 그친 한나라당 홍정욱 전 헤럴드미디어 대표를 앞서고 있었다. 적극적 투표의사층에서는 노 후보(33.5%)와 홍 후보(33.2%)의 지지도 차이가 0.3% 포인트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노 후보는 30대에서, 홍 후보는 20대에서 뚜렷한 우세를 보였다.
▽전남 무안·신안=통합민주당 공천을 못받자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대중 전 대통령 차남 김홍업 의원이 29.4%로, 구 민주당 사무부총장 출신인 황호순 통합민주당 후보(30.5%)에 1.1%포인트 뒤지고 있다. 그러나 태도유보층이 32.5%에 달해 향후 부동층의 향배가 승부를 가를 전망이다.
직업별로 화이트칼라 층은 49.6% 대 7.5%로 황 후보를 압도적으로 선호했다. 반면 블루칼라 층은 10.3% 대 61.9%라는 현격한 차이로 김 의원을 밀었다.
▽서울 성동갑=통합민주당 최재천(35.7%) 의원이 한나라당 진수희(33.1%) 비례대표 의원을 2.6%포인트 앞서고 있다.
최 의원은 30대에서 41.4% 대 23.4%로 앞섰고, 진 의원은 ‘60대 이상’에서 52.2% 대 19.0%로 압도적인 우세를 나타냈다. 호남 유권자 비중이 25.9%인 이 지역에서 최 의원은 호남표의 55.7%를 차지했다. 진 의원은 부산·울산·경남 표의 41.7%를 챙기는 등 영남출신의 지지를 받았지만 영남출신 유권자 비중은 15.9%에 그쳤다.
▽서울 노원갑=통합민주당 정봉주(29.4%) 의원과 한나라당 노원갑 당협위원장인 현경병(28.6%) 후보가 1%포인트 차 이내의 박빙 승부를 벌이고 있다. 이 지역에서 16대 의원을 지낸 친박연대 함승희(14.9%) 후보가 뒤를 이어 2강1중 구도.
정 의원은 33.9%를 얻은 30대에서 앞섰고, 현 후보는 50대에서 39.2%의 지지로 우세를 보였다.
▽서울 송파병=한나라당 비례대표인 이계경 의원(31.4%)과 통합민주당 김성순 후보(30.9%)가 0.5%포인트 차이로 접전을 벌였다. 연령별로 이 의원은 20대(34.9%)와 60대(39.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김 후보는 40대(37.0%), 50대(37.7%)에서 지지율이 높게 나왔다.
▽부산 사하갑=한나라당을 탈당해 친박연대로 출마한 엄호성 의원(28.4%)과 역시 친박근혜 계열로 분류되는 한나라당 현기환 후보(28.3%)가 0.1%포인트 차이의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현 후보는 중졸 이하(37.4%), 엄 의원은 고졸 이상(64.0%)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대구 서=한나라당 강재섭 대표가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정치 신인인 이종현 경북대 교수가 긴급 투입된 대구 서구에서는 친박연대 홍사덕 후보(40.7%)가 한나라당 이 후보(28.7%)를 12%포인트 앞섰다. 적극적 투표 의사층(58.9%)에서는 두 후보 간 격차가 17.4%포인트 차로 더 벌어졌다.
▽인천 중-동-옹진=지역구 현역인 통합민주당 한광원 의원(22.8%)과 인천시 정무부시장을 지낸 한나라당 박상은 후보(28.1%)가 승부를 다투는 가운데 한나라당 공천에서 떨어진 중구청장 출신 이세형 후보(17.5%)가 이들을 뒤쫓고 있다. 그러나 태도유보층이 27.7%에 이른다는 점에서 부동층의 표 쏠림 여하에 따라 승부가 갈릴 수 있다.
▽대전 서을=충남 공주-연기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는 자유선진당 심대평 대표로부터 바통을 넘겨받은 같은 당 이재선 후보가 선전하고 있다. ‘친박근혜’ 계열로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후 자유선진당에 입당한 이 후보(28.8%)가 한나라당 나경수 후보(20.5%)와 통합민주당 박범계 후보(16.0%)를 앞서고 있다.
▽경기 고양 덕양갑=한나라당 손범규(32.0%) 후보가 진보신당 심상정(22.5%) 대표를 앞섰다. 두 후보 간 지지율 차가 9.5%포인트인 가운데 적극적 투표 의사 층(52.7%)에서는 15.6%포인트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경기 용인 수지=‘친박근혜’계로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한선교 의원과 한나라당 윤건영 비례대표 의원이 박빙의 승부를 보이고 있다. 한 의원(34.1%)과 윤 의원(32.7%)의 지지율 차는 1.4%포인트.
▽충북 청주 상당=3선 의원에 도전하는 통합민주당 홍재형 후보가 45.8%를 얻어서 민선 청주시장을 4년간 지낸 한나라당 한대수 후보보다 13.6% 포인트 앞섰다. 홍 후보는 이 지역 민주당 지지율(22.0%)보다 2배 이상 높은 지지를 얻었다.
▽충남 천안을=충남 천안을 지역에서는 자유선진당 박상돈 의원과 한나라당 김호연 후보가 1.4%포인트 차이로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태도 유보’라는 응답자가 상당수에 이르렀다. 박 의원 지지율 27.4%, 김 후보 26.0%인 반면 유보층이 30.6%에 달한 것.
▽경북 안동=조선일보 워싱턴특파원 출신의 한나라당 허용범 후보(29.7%)와 재정경제부 차관을 지낸 김광림 무소속 후보(30.3%)가 박빙의 경쟁을 펼치고 있다. 친박연대의 3선 경북도의원인 장대진 후보가 14.2%로 그 뒤를 쫓고 있다.
▽경남 창원을=대통령선거에 세 번 출마한 지역구 현역인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38.9%)이 도의원 출신 사업가인 한나라당 강기윤 후보(26.0%)를 크게 앞서고 있다. 두 사람의 인지도는 97.5% 대 42.2%로 두 배 이상 차가 났다. 후보 선호도에서도 권 의원이 강 후보를 38.5% 대 10.1%로 압도했다. 정당선호도는 한나라당이 34.9%, 민주노동당이 16.8%, 통합민주당이 4.3%였다.
이번 조사는 지역구 거주 19세 이상 성인 남녀 7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를 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4%포인트, 평균 응답률은 14.6%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