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공천탈락자 백태, "집앞 항의에서 단식농성까지"

밀실공천, 계파공천, 물갈이 등 이유도 가지가지

한나라당에 공천심사위원회가 지역별 면접 결과를 발표하면서 2~4배수 압축후보군에도 들지 못한 공천 신청자들이 강력 반발하는 등 한나라당이 연일 몸살을 앓고있다.

서울 중랑을에 공천을 신청했다 탈락한 신동욱 예비후보는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밀실 공천의혹을 제기했다. 신 후보는 당시 면접 심사에서 경쟁자였던 A후보가 "M최고위원과 상의해서 이곳에 오게 됐다"고 면접위원들에게 답변했다고 주장했다. 신 후보는 특히 M 최고위원과 관련 "전직 지도부로 당 실세였다"고 주장하는 등 이명박 당선인측을 정면 겨냥했다. 신 후보는 박근혜 전 대표의 동생 근령 씨의 약혼자이기도 하다.

신 후보와 마찬가지로 공천에서 탈락한 이만재 전 의원도 이 날 보도자료를 통해 "(내가) 정말 중랑을 지역구의 공천 배수자에조차 들지 못할 정도로 어떤 특별한 결격 사유가 있었는지 명확히 밝힐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공심위에 강력 항의했다.

수도권에서도 공천 잡음이 재연됐다. 경기 안산단원갑에 공천을 신청했다 탈락한 권태근 예비후보는 19일 공심위에 탄원서를 내며 "계파별 나눠먹기식 공천"이라고 당 지도부를 맹비난했다. 권 후보는 "서울지역과 수도권지역의 1차 탈락자들을 볼 때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1차 심사결과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일명 리스트 공천, 계파공천, 요식공천이란 이름으로 공천심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 대변인 박종웅 전 의원은 공천 서류 자체가 반려되자 단식 농성을 하는 등 강력 반발했다. 박 전 의원과 마찬가지로 공천 서류가 반려된 여타 후보들도 연대 단식 농성에 돌입하기도 했다.

공심위에 공천 결과에 대해 강력 반발하는 인사들이 있는 반면, 경쟁 후보에게 직접 찾아가 압력을 행사하는 후보도 있다.

전직 의원출신인 서울 모 당협위원장측은 비례대표 출신의 B의원이 자신의 지역구 출마를 선언하자 집앞까지 찾아가 공천 신청 철회를 요구하는 소동도 벌였다. 이들은 봉고차 2대에 나눠타고 이 의원 집앞으로 찾아가 출근하려던 의원을 막아서기도 했다.

현직 의원이 공천 과정에 항의하는 일도 발생했다. 비례대표 출신으로 서울 금천에 공천을 신청한 문희 의원은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경륜은 대단히 중요한 국가적 자산임에도 불구하고 언론보도에 의하면, 70세 이상은 탈락시킬 것이라는 설이 흘러나오고 있는 것은 참으로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문 의원은 19일 의원총회장에서도 "연령이 공천자격을 제한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이례적으로 공개 발언에 나서기도 했다.

현재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과 강원 지역에 대한 공천 면접 심사를 끝냈다. 공심위는 늦어도 오는 주말까지 면접 심사를 마치고 이르면 2월말부터 공천이 확정된 지역부터 공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그러나 공천 결과에 따라 이명박-박근혜 양 계파의 갈등 재연도 예상되면서 한나라당은 한바탕 공천 몸살을 겪을 전망이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