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우량기업 회사채 금리 9% 돌파, 한계기업 벼랑끝
해운-조선-건설 등 한계기업 연쇄도산 위기 직면
미국 양적완화 축소 방침의 후폭풍으로 우리나라 비우량 회사채 금리가 단숨에 9%선을 돌파했다.
증시 침체로 주식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황에서 회사채 금리마저 급등해 불안감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과 한계기업의 자금 경색으로 도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3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비우량 회사채(BBB-등급)의 금리는 21일 9.05%에 달해 9%선을 넘었다. 이 금리는 19일 8.75%에서 20일 8.97%로 폭등했고 21일 9%선을 넘었다.
비우량 회사채 금리가 9%선에 도달한 것은 작년 7월 23일(9.00%) 이후 11개월 만이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9일 양적완화 축소 발언을 한 뒤 나온 것이다.
우량 회사채(AA-등급) 금리도 19일 3.12%에서 20일 3.35%로 급등한 데 이어 21일 3.40%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작년 9월 17일(3.41%)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버냉키 쇼크'로 회사채 거래도 크게 줄었다.
회사채 거래량은 19일 7천565억원에서 20일 3천835억원으로 49.3% 감소했다.
작년 9월 웅진 사태에 이어 최근 STX팬오션[028670]의 법정관리 신청까지 악재가 겹치며 회사채 시장은 상당히 냉각된 상태다.
여기에 출구전략 우려까지 더해지며 국내 기업들의 자금 경색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의 회사채는 시장에서 찾는 투자자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기업공개(IPO), 유상증자 등의 주식 발행이나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양쪽 창구가 모두 막힌 상태다.
증시 침체로 주식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나마 대기업 사정은 낫지만 중소기업은 올해 1~4월 회사채 발행 실적은 전혀 없다.
신용등급별로 봐도 올해 들어 4월까지 BBB- 등급 이하 일반회사채 발행액은 1천720억원에 그쳐 전체 일반회사채 발행액의 1.1% 수준이다.
비우량 회사채 금리와 국고채(3년물) 금리의 스프레드(금리격차)는 19일 594bp(1bp=0.01%포인트)에서 20일 603bp로 높아졌고 21일 601bp로 높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국고채 금리도 상승한 탓에 최근 스프레드가 큰 폭으로 벌어지진 않았지만 작년 9월 웅진 상태 당시 530bp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기업의 자금조달 능력이 떨어지고 한계기업들의 줄도산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의 회사채 금리와 거래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부적격 등급 회사채는 발행 자체가 안 되고 있다"며 "지금 상황이 양적완화 축소 우려에 따른 일시적인 공황이 될지, 추세가 될지 지켜보며 필요하면 시장 안정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시 침체로 주식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어려운 상황에서 회사채 금리마저 급등해 불안감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과 한계기업의 자금 경색으로 도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3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비우량 회사채(BBB-등급)의 금리는 21일 9.05%에 달해 9%선을 넘었다. 이 금리는 19일 8.75%에서 20일 8.97%로 폭등했고 21일 9%선을 넘었다.
비우량 회사채 금리가 9%선에 도달한 것은 작년 7월 23일(9.00%) 이후 11개월 만이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9일 양적완화 축소 발언을 한 뒤 나온 것이다.
우량 회사채(AA-등급) 금리도 19일 3.12%에서 20일 3.35%로 급등한 데 이어 21일 3.40%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작년 9월 17일(3.41%)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버냉키 쇼크'로 회사채 거래도 크게 줄었다.
회사채 거래량은 19일 7천565억원에서 20일 3천835억원으로 49.3% 감소했다.
작년 9월 웅진 사태에 이어 최근 STX팬오션[028670]의 법정관리 신청까지 악재가 겹치며 회사채 시장은 상당히 냉각된 상태다.
여기에 출구전략 우려까지 더해지며 국내 기업들의 자금 경색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의 회사채는 시장에서 찾는 투자자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기업공개(IPO), 유상증자 등의 주식 발행이나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양쪽 창구가 모두 막힌 상태다.
증시 침체로 주식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나마 대기업 사정은 낫지만 중소기업은 올해 1~4월 회사채 발행 실적은 전혀 없다.
신용등급별로 봐도 올해 들어 4월까지 BBB- 등급 이하 일반회사채 발행액은 1천720억원에 그쳐 전체 일반회사채 발행액의 1.1% 수준이다.
비우량 회사채 금리와 국고채(3년물) 금리의 스프레드(금리격차)는 19일 594bp(1bp=0.01%포인트)에서 20일 603bp로 높아졌고 21일 601bp로 높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국고채 금리도 상승한 탓에 최근 스프레드가 큰 폭으로 벌어지진 않았지만 작년 9월 웅진 상태 당시 530bp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기업의 자금조달 능력이 떨어지고 한계기업들의 줄도산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해운, 조선, 건설 등 취약업종의 회사채 금리와 거래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부적격 등급 회사채는 발행 자체가 안 되고 있다"며 "지금 상황이 양적완화 축소 우려에 따른 일시적인 공황이 될지, 추세가 될지 지켜보며 필요하면 시장 안정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