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자 14명으로 신문 발행 강행"
사측 "적잖은 기자가 자발적으로 기사 작성", 비대위 "거짓말"
편집국을 폐쇄한 한국일보 사측이 사측에 동조하는 10여명으로 17일자 신문 제작을 강행, 사태는 더욱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한국일보 사측은 장 회장이 임명한 하종오 편집국장 직무대행과 보직부장 7명, 기자 7명 등 14명으로 이날 평소보다 8면 줄어든 24면 분량의 신문을 발행했다.
한국일보 비대위에 따르면, 지면 대부분은 <연합뉴스> 등 통신사 기사들로 채워졌고, 사설의 경우 논설위원들이 집필을 거부하면서 정치부 데스크가 3개 사설을 모두 쓰고 지면 편집은 자매사인 <서울경제> 편집기자를 동원해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그러나 1면에 게재한 '독자 여러분께 양해 말씀 구합니다'라는 사고를 통해 “인사발령에 불만을 품은 편집국 전직 간부와 일부 기자들의 반발로 40일 넘게 정상적인 신문 제작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16일 신임 편집국장(직무대행)과 신임 부장, 그리고 지면 제작에 동참한 기자들이 신문제작 정상화에 팔을 걷고 나섰으며 적잖은 기자들이 신문 제작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자발적으로 기사와 사진을 보내오고 있다”며 마치 상당수 기자들이 신문제작에 동참한 것처럼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일보 노조 비대위는 “전체 기자 195명 중 16일 노조의 항의 농성에 참여한 기자가 132명이며 특파원 근무, 연수 및 휴가 등의 사정으로 부득이하게 불참한 기자를 포함하면 현재 장재구 회장의 지시에 따라 제작에 참여하는 기자는 14명뿐”이라고 반박했다.
실제로 정병진 주필을 포함한 논설위원은 물론 논설고문들도 칼럼 집필을 거부중이다.
비대위는 트위터를 통해 "죄송합니다. 오늘자 한국일보 지면은 저희 기자들이 작성한 기사가 없습니다. 배임혐의 장재구회장의 불법 편집국 폐쇄로 정상적으로 지면을 제작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오늘 기사 트위터 서비스는 하지 않습니다. 독자여러분 거듭 죄송합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일보 기자들은 17일 지방취재본부 기자들까지 합류해 편집국 진입을 시도할 예정이어서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되고 있다.
한편 검찰은 장 회장 배임 혐의에 대한 수사를 마치고 조만간 장 회장을 소환한다는 방침이어서, 장 회장 처리 여부가 이번 사태의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한편 박영선 민주당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한국일보 사주, 편집국 폐쇄. 제2의 MBC사태? 이 땅의 언론은 왜 이리도 수난을 겪어야 하는지..."라고 사측을 질타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사측은 장 회장이 임명한 하종오 편집국장 직무대행과 보직부장 7명, 기자 7명 등 14명으로 이날 평소보다 8면 줄어든 24면 분량의 신문을 발행했다.
한국일보 비대위에 따르면, 지면 대부분은 <연합뉴스> 등 통신사 기사들로 채워졌고, 사설의 경우 논설위원들이 집필을 거부하면서 정치부 데스크가 3개 사설을 모두 쓰고 지면 편집은 자매사인 <서울경제> 편집기자를 동원해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그러나 1면에 게재한 '독자 여러분께 양해 말씀 구합니다'라는 사고를 통해 “인사발령에 불만을 품은 편집국 전직 간부와 일부 기자들의 반발로 40일 넘게 정상적인 신문 제작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16일 신임 편집국장(직무대행)과 신임 부장, 그리고 지면 제작에 동참한 기자들이 신문제작 정상화에 팔을 걷고 나섰으며 적잖은 기자들이 신문 제작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자발적으로 기사와 사진을 보내오고 있다”며 마치 상당수 기자들이 신문제작에 동참한 것처럼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일보 노조 비대위는 “전체 기자 195명 중 16일 노조의 항의 농성에 참여한 기자가 132명이며 특파원 근무, 연수 및 휴가 등의 사정으로 부득이하게 불참한 기자를 포함하면 현재 장재구 회장의 지시에 따라 제작에 참여하는 기자는 14명뿐”이라고 반박했다.
실제로 정병진 주필을 포함한 논설위원은 물론 논설고문들도 칼럼 집필을 거부중이다.
비대위는 트위터를 통해 "죄송합니다. 오늘자 한국일보 지면은 저희 기자들이 작성한 기사가 없습니다. 배임혐의 장재구회장의 불법 편집국 폐쇄로 정상적으로 지면을 제작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오늘 기사 트위터 서비스는 하지 않습니다. 독자여러분 거듭 죄송합니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일보 기자들은 17일 지방취재본부 기자들까지 합류해 편집국 진입을 시도할 예정이어서 물리적 충돌까지 우려되고 있다.
한편 검찰은 장 회장 배임 혐의에 대한 수사를 마치고 조만간 장 회장을 소환한다는 방침이어서, 장 회장 처리 여부가 이번 사태의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한편 박영선 민주당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한국일보 사주, 편집국 폐쇄. 제2의 MBC사태? 이 땅의 언론은 왜 이리도 수난을 겪어야 하는지..."라고 사측을 질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